![]() |
||
![]() ![]() |
![]() ![]() |
|
※ 프로그램 설명 |
|
AAC 음성코덱을 지원하는 위한 다이렉트쇼 필터 |
AAC란? MP4는 MP3과 성격이 비슷하면서도 뿌리가 다르다. MP4의 공식 명칭은 MPEG-2 AAC(Advanced Audio Coding)로 MPEG-2 NBC(Non Backwards Compatibility)라고도 부른다. 이처럼 복잡해 보이는 이름이 MP4로 탈바꿈한 것은 사용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이다. MPEG-2 AAC는 이름부터 길며, MP3과는 다른 파일처럼 오해할 수 있어 국내의 모 기업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붙인 이름이다. 공식 이름은 아니지만 친근감 있고 MP3의 상위 버전처럼 느껴진다. MPEG-2 AAC(이하 AAC라고 한다)는 MP3처럼 압축된 오디오 테이터이지만 탄생 배경은 틀리다.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MPEG-1이 아닌 MPEG-2에서 파생되었다. DVD 비디오에서 사용되는 MPEG-2는 MPEG-1에 비해 4배의 화질과 다중 언어 지원 등으로 성능이 우수하다. AT&T나 톰슨, Fraunhofer 등의 업체가 공동으로 만든 이 규격은 MP3에 비해 음질이 우수하고 압축률이 높다. 이유는 다음과 같다. MP3의 데이터 구조가 고정적인 반면 AAC의 데이터는 유동적이다. 자세히 설명하면 MP3은 곡 전체의 정보를 담는 헤더 뒤에 데이터가 프레임이라는 단위로 저장된다. * MPEG-2 AAC(ISO/IEC 13818-7) MPEG-2 AAC (Advanced Audio Coding)포맷은 MPEG Layer III(MP3)와는 달리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며, 그로 인해 최대 30퍼센트까지 용량이 줄어들고, 향상된 음질을 제공한다. MPEG-2 AAC는 디코더의 규모와 음질의 균형(trade-off)을 맞추기 위해서 3가지의 Profile로 구성된다. - Main Profile : gain control을 제외한 모든 tool을 사용하여 고음질을 구현한다. 디코더의 파워, 메모리 사용량이 풍부한 응용분야에 주요 사용된다. - LC(Low Compleixty) Profile : 디코더의 프로세서 파워 및 메모리의 사용량이 Main Profile과 비교해서 작다는 것이 특징이다. Main Profile에서 사용되지 않는 gain control tool이외에도 prediction tool이 사용되지 않으며 TNS order도 제한이 있다. - SSR(Scalable Sampling Rate) Profile : LC Profile에 gain control을 추가한 것으로 4개의 영역 분할 파일을 갖기 때문에 디코더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. * MPEG-4 AAC LC MPEG-4 AAC LC는 ISO/IEC 13818-7에 정의된 MPEG-2 AAC LC Profile과 매우 유사하다. 그러나, PNS tool이 새롭게 추가되었다. MPEG-4 AAC bitstream syntax는 ISO/IEC 13818-7에 정의된 syntax와 호환성이 있다. MPEG-4 AAC LC bitstream을 디코드할 수 있는 decoder는 MPEG-2 AAC raw data stream을 decode할 수 있다. 하지만, MPEG-2 AAC decoder가 MPEG-4 AAC bitstream을 parsing할 수 있다할 지라도 PNS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값을 decoding할 수도 있다 * MPEG-4 AAC SBR(Spectral Band Replication) 오디오 신호의 스펙트럼을 살펴보면, 저주파수 성분과 고주파수 성분사이에는 강한 연관성을 가진다.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MPEG-4 AAC SBR은 고주파 성분을 전달하는 대신에 일부 정보를 전달하로 이 정보를 이용하여 고주파 성분을 재생한다. 32kbps/ch이하의 비트율에서 기존의 AAC LC에 비해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. * MPEG-4 BSAC(Bit Sliced Arithmetic Coding) MPEG-4 BSAC은 채널당 1kbps 간격으로 fine grain scalability를 제공할 수 있다. 하나의 Base layer 비트스트림과 여러 개의 작은 enhancement 비트스트림으로 구성되어 있다. 또한, 이동통신망이나 DAB등 error가 있는 환경에서 압축 효율에만 중점을 두어 개발된 codec에 비해서 오디오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. MPEG-4 BSAC은 한국의 지상파 DMB의 Audio 신호를 압축하는 표준으로 선정되었다. |
파일받기가 불안하다면 46개의 백신으로 한꺼번에 검사하는 virustotal로 검사하세요. (오진도 많으니 참고) |
|
목록 이전 다음 |
powered by Zeroboard / skin by filedosa, Lovelet |